UTM 설치하기
동일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 강의에서는 VirtualBox를 사용해서 그곳에 Ubuntu를 올려서 진행한다. 하지만 m1, m2와 같은 애플 실리콘이 지원이 안되고 있다. 이전 버전을 설치해서 진행해 보아도 정상 설치가 안되는게 검색해보니 지원을 안한다는 글이 많았다.
시작 부터 난관에 부딪혔다. ㅋㅋ
vm툴 없이 진행할까도 고민했지만 그러면 나중에 문제가 생길수도 있고 vm툴을 사용하는 이유가 있을거 같아서. 애플 실리콘을 지원하는 vm소프트웨어를 검색해 보았다.
UTM
VMWARE
https://www.vmware.com/kr/products/fusion.html
위의 두개의 제품이 무료이고 가상화를 지원 한다고 한다. VMWARE는 예전에 사용해 본적이 있어서 이번엔 제외 하고 UTM을 사용해보기로 했다. 여러번 풍문으로 들려오는게 성능도 괜찮을거 같고 궁금해서 선택했다.
https://mac.getutm.app/
위의 링크에 들어간다.
다운로드를 눌러서 UTM.dmg를 선택하여 설치해주자.
여기까지 나오면 UTM 설치가 성공
Ubuntu 22.04.3 설치
UTM에서 “UTM 갤러리 둘러보기”>”Ubuntu 20.04 ARM64″>”Guide” 를 선택하자
https://docs.getutm.app/guides/ubuntu/
여기서 arm버전을 선택하자.
https://ubuntu.com/download/server/arm
그냥 우분트 사이트 들어가서 받을려니 해깔리고 해서 이렇게 받았다. 현재 최신버전은 22.04.3 버전이다.
새 가상머신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Virtualize, Emulate가 있는데 우리는 가상화 기술을 사용할거니깐 첫번째를 선택합니다.
리눅스를 선택합니다. 이걸 보면 윈도우를 이걸로 설치해서 사용해도 될거 같습니다.
아까 다운로드 받은 iso를 선택해서 컨티뉴를 눌러줍니다.
메모리는 8기가, cpu는 4개로 선택합니다.
스토리지는 100기가로 잡았습니다.
이름과 아래의 체크 박스를 선택하고 저장을 합니다. 그러면 바로 설정창이 나옵니다. 체크를 안해도 만들어진 인스턴스에 우클릭으로 설정으로 들어갈수 있습니다.
초기값이 Shared Network로 되어있습니다. 이걸 Bridged로 변경합니다. 이걸 안하면 외부 연결이 안되어서 ubuntu 설치시 오류가 납니다. 한참 해매다가 알게되었습니다.
강의를 보니 첫번째 볼륨은 리눅스, 두번째 볼륨은 도커 이렇게 나눠서 운영하려고 볼륨을 추가하길래 마찬가지로 추가했습니다. 100기가로 잡았습니다. 어차피 사용 안하면 실제 용량으로 잡히진 않으니 괜찮습니다.
펭귄 아이콘을 더블 클릭합니다.
엔터로 진행합니다.
한국어를 선택해도 되지만 글자 깨짐 현상이 발생할수 있어서 영어로 선택합니다.
첫번째 우분투 서버를 선택합니다.
디폴트로 선택된것으로 계쏙 진행합니다.
이렇게 되면 외부 인터넷과 연결이 된 상태입니다. 처음에 할때 네트워클를 브릿지로 안해서 이부분에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이렇게 오류가 안나면 정상입니다.
이제 이번 글에서 조금 복잡한 내용(?)이 나옵니다. 볼륨을 나누는 부분입니다. 하나씩 따라해보면 됩니다.
위처럼 free space를 선택해서 용량을 나눌수 있다.
리눅스가 설치되는 메인 볼륨입니다.
swap으로 8기가를 잡습니다. 이건 메모리가 부족할때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볼륨입니다.
볼륨을 다 설정하면 위와 같습니다. 주요볼륨 70G, swap 8G, 1.5G는 /DATA, 나머지는 /BACKUP에 마운트해놓습니다.
그리고 vdb는 전체를 xfs로 포맷하고 /var/lib/docker에 마운트 합니다.
강의와 같이 kevin, hostos1, pass123#로 설정하였다.
계속 진행합니다. 중간에 openssh은 강의에는 설치 안했는데 설치 하고 진행했습니다.
필요한 패키지를 선택하는 곳인데 선택 안하고 넘어갔습니다. 도커는 추후에 설치하는게 나올테니 강의과 같이 진행해 보겠습니다.
그런 다음에 몇분이 지나면 Reboot Now가 활성화 됩니다. 선택합니다.
Reboot Now를 선택하면 화면이 검은 화면에 반응이 없습니다. 화면의 오른쪽에서 3번째 아이콘을 선택해서 iso를 꺼냅니다.
삼각형을 클릭하면 리부트가 시작됩니다.
아이디/비밀번호 kevin/pass123#을 입력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강의를 보다 보니 화면이 gui인데 위에처럼 설치하니 cli가 나온다.
$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ubuntu-desktop $ sudo reboot우
위의 명령어를 하나씩 실행하자.몇분의 시간이 지나면 gui가 설치된다.
m1 맥북에서 강의를 따라하기 위해서 나름대로 설정을 따라해보았는데 강사님과 환경이 달라서 앞으로 강의를 따라하면서 조금 어려움이 발생할거 같다. 여기다가 잘 정리해 놓아서 맥 사용자들이 참고할수 있으면 좋을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