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git 파일의 버전을 관리하는 툴이라고 했습니다. 개발하다가 하루 전이나 이전 상태로 돌아갈 방법은 뭘까요?
버전 관리 툴이 없다면 버전마다 파일을 복사해서 관리해야 할 겁니다. 다른 방법은 깃을 사용하는 것이죠.
오늘은 깃에서 어떻게 버전을 저장하는지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앞으로 실습할 작업 환경을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git-command이라는 이름으로 폴더를 하나 만들겠습니다.
지난번에 설치한 vscode로 해당 폴더를 열어봅시다.
터미널을 열어서 실습을 시작해봅시다. 터미널은 Terminal>New Terminal을 클릭하시면 위의 화면처럼 터미널이 열립니다. 저는 단추키인 ctrl+`로 열었습니다.
오늘 실습할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파일 a를 만들자
- 작업 중인 내용을 커밋해보자.
- 작업 중인 내용을 버리고 이전 상태로 돌아가 보자.
이걸 명령어로 한번 실습 해보고 소스 컨트롤로 한번 더 해보겠습니다.
파일 a를 만들자
먼저 터미널에
git init
실행해보면 숨겨진 파일로
.git이라는 폴더가 생성이 되어서 버전을 관리하게 됩니다.
작업 중인 내용을 커밋 해보자
git add a
명령어를 실행하면 a라는 파일이 staged 상태가 됩니다. 여기에 올라간 파일은 다시 git commit이라는 명령어로 버전관리를 할수 있습니다.
“git add .” 명령어로 수정사항이 있는 파일들을 전부 staged 상태로 올릴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파일명을 직접 지정하여 진행하였습니다.
git commit -m "a 파일 만듬"
-m이라는 옵션으로 어떤 작업을 했는지 메시지를 남겨 놓아야 합니다.
이때 작업한 내용이 어떻게 저장되었는지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git log git log --all --oneline git log --all --online --graph
위의 명령어들로 알아 낼수 있습니다. 한번식 실행해보면서 해당 옵션들이 어떻게 작용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all: 모든 브랜치의 정보를 조회한다
–online: 커밋내용을 한줄로 보여준다
–graph: 상태를 그래프로 표현한다.
작업 중인 내용을 버리고 이전 상태로 돌아가 보자
hello world
위와 같이 작업하다가 뭔가 잘못되어서 작업하던 내용을 버리는 방법은
git restore a
작업하던 내용을 저장소에 저장했던 버전으로 되돌렸다.
SOURCE CONTROL
파일 b를 만들자
작업 중인 내용을 커밋 해보자
위의 버튼을 클릭하면 작업하던 내용이 staged된다. 이건 명령어로는 git add b 와 같다
그리고 commit을 클릭하면
이런 창이 하나 생기는데 위에처럼 메시지를 작성하고 체크 버튼을 눌르면 커밋이 완료된다. git commit -m “b 만들었음”과 같은 작업이다.
깃로그 확인은 탐색 창에서 마우스 우클릭으로 위의 해당 기능을 클릭하여 확인 할 수 있다.
작업 중인 내용을 버리고 이전 상태로 돌아가 보자
위의 화면처럼 sorce controller에서 클릭하면 복구가 된다. git restore b에 해당한다.
오늘은 깃이라는 버전 관리툴의 버전을 저장하는 방법과 작업하던 내용을 버리는 방법을 다루어보았다.
개인적으로는 명령어는 알아는 두되 작업은 이러한 툴을 사용하는게 더 생산적인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