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GIT COMMAND

[GIT]8. 기타 주요 명령어들

이제까지 대략적인 깃 사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하지만 주로 다루지 않았지만 중요한 명령어들과 사용법들을 이번 글에서 정리하겠습니다. git fetch 이 명령어는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될 명령어중 하나입니다. 아침에 출근해서 컴퓨터를 키면 먼저 실행하는 명령어!. 하는일은 로컬 저장소에 원격 저장소의 정보들을 새로 업데이트 주는 일입니다. 그래서 원격 저장소에 무엇인가 업데이트가 되었다면 로컬저장소에 받아야 할게 있다고 알려줍니다. 이렇게

Read More

[GIT]7. 원격저장소(git push)

여지껏 git commit으로 작업한 것은 작업폴더의 .git이라는 폴더에 저장되어있습니다. 이것을 로컬 저장소라고 합니다. 하지만 여러 사람들과 협업을 하기 위해서는 원격저장소에 해당 내용을 업로드해야 합니다. 그래야 다른 사람들도 그 변경 사항을 같이 공유하면서 작업을 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명령어가 git push명령어입니다. 원격 저장소로 가장 유명하고 널리 사용되는 곳이 https://github.com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깃허브에서 리파지토리를 만들고 어떻게 소스를

Read More

[GIT]5. branch 만들고 머지하기

개발 하면서 필요한 기능을 추가 하거나 수정 해야 할경우 기존의 main 혹은 master 브랜치에서 계속 커밋을 해도 되지만 혹시나 잘못된 코드를 커밋하거 기존의 코드를 망치면 어떻게 할까요? 이런 걱정없이 안전하게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이 새로운 branch를 만들어서 머지하는 것입니다. 브랜치 만들기 git branch branchname git switch branchname 1번째 라인의 코드를 입력하면 새로운 브랜치가 만들어집니다. 2번째

Read More

[GIT]4. git stash 임시보관하기

코드를 짜다보면 지금 작업하던 코드를 버리기는 아깝고 잠시 다른 곳에 보관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이럴때 사용하는 코드가 git stash입니다. 지난시간에 실습했던 파일 a서 부터 시작하겠습니다. command a 만들었음 hello world 3줄에 hello world 라는 것을 적었습니다. git stash git stash라고만 하면 이게 어떤 작업을 한건지 구분하기 어려우니 메모를 남기면 더 좋을거 같습니다. git stash save

Read More

[Git]3. difftool 이전 버전과 현제 상태 비교하기

오늘은 이전 보전과 현제의 버전의 차이를 어떻게 비교할수 있는지 다루어 보겠습니다. command git diff commit-id1 [dommit-id2] git difftool commit-id1 [dommit-id2] 두 명령어의 차이는 diff, difftool로서 뒤에 tool더 붙는다는 것이다. 첫번째 diff 명령어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간단히 살펴 볼수는 있겠지만 이걸로 보기는 쉽지 않을거 같다. commit-id를 알아야 현제 버전과의 차이를 알수 있기에 지난 시간에 배운 git

Read More

[Git]2.git add, git commit, git restore 사용법

앞에서 git 파일의 버전을 관리하는 툴이라고 했습니다. 개발하다가 하루 전이나 이전 상태로 돌아갈 방법은 뭘까요? 버전 관리 툴이 없다면 버전마다 파일을 복사해서 관리해야 할 겁니다. 다른 방법은 깃을 사용하는 것이죠. 오늘은 깃에서 어떻게 버전을 저장하는지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앞으로 실습할 작업 환경을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git-command이라는 이름으로 폴더를 하나 만들겠습니다. 지난번에 설치한 vscode로 해당

Read More

[GIT]1. 설치법

git은 파일을 버전관리 하는 툴로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이번 연제에서는 이 깃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명령어와 제가 주로 쓰는 툴인 소스트리를 사용해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최종적으로는 이 연제를 다 보시면 깃 사용해서 협업하는데 문제가 없도로 초심자 및 중급자의 가이드가 되도록 하고자 합니다. 제가 예전에 스터디했던 Learn Git Branshing. 에서 많이 배웠습니다. 지금도 유용하니 참고 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