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초격차 패키지 : 한 번에 끝내는 CI/CD의 모든 것: Docker부터 GitOps까지

[Docker]Docker image 관리-8

이번 글에서는 도커에서 image가 무었인지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에 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UTM hostos2 만들기 이번장을 들어 가기 전에 실습위해서 hostos1을 복제해서 hostos2를 만들겠습니다. hostos1을 선택해서 큰론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새로 생긴 인스턴스를 선택해서 edit버튼을 클릭해줍니다. hostos2로 이름을 변경해 줍니다. 이 부분이 중요합니다. 네트워크탭에서 MAC Address의 random을 클릭해주세요. 복사를 한것이라서 hostos1과 MAC Address가 같아서 두개의 터미널을 뛰울경우 내부적으로

Read More

[Docker]Docker 엔진 업데이트-7

도커 엔진이 계속 최신 버전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는 엔진이 구형이 되었을때 성능,  버그, 보안 패치, 새로운 기능등의 이유로 업그레이드가 권장됩니다. 이번글에서는 어떻게 업데이트를 할수 있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시나리오] 현재 F 사는 ubunt18.04 운영체제에 docker 19.x 버전을 사용 중이다. 새로운 기능의 호환성을 맞추고 성능 향상을 위해 최신 버전 업데이트를 결정했다. 작업 절차는 다음과 같다. 기존에 실행

Read More

[Docker]GUI 컨테이너 관리 도구 Portainer-6

이번 글은 Portainer를 설치하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docker를 관리하는 gui툴인데 브라우저에서 사용합니다. docker pull portainer/portainer-ce docker volume create portainer_data docker run -d -p 9000:9000 -v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v portainer_data:/data –restart=always portainer/portainer-ce 볼륨을 하나 생성해서 portainer/portainer-ce과 연결했습니다. 포트는 9000번으로 연결하여 브라우저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로 접근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패스워드를 설정해주면 됩니다. 길이 제한이 12글자 이상이네요. password123#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Read More

[Docker]간단한 컨테이너 구현 실습-5

이번 글에서는 지난번에 설치한 도커를 사용해서 여러 컨테이너들을 구현하는 실습을 해보겠습니다. 시스템 컨테이너 생성 docker pull centos:7 docker pull ubuntu:16.04 docker images docker run -it –name=sys-container-1 centos:7 echo ‘welcome fastcampus!’ docker ps -a docker run -it –name=sys-container-2 centos:7 bash cat /etc/os-release exit docker ps docker ps -a docker start sys-container-2 docker ps -a docker exec

Read More

[Docker]Docker 엔진 설치와 확인-4

이번장에서는 드디어 도커를 설치 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이부분은 강의 내용과 다를게 없으므로 어떻게 실습을 했었는지 정리하며 넘어 가겠습니다. # docker 사용에 필요한 패키지 설치 sudo apt-get install -y apt-transport-https ca-certificates curl gnupg-agent software-properties-common https를 사용해서 도커를 설치하기 위해서 위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Docker의 공식 GPG(GNU Privacy Guard) key를 추가 curl -fsSL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gpg | sudo gpg

Read More

[Docker]네트워크 설정-3

이번 글에서는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putty, Moba, WinSCP를 설치하는 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네트워크 설정 터미널을 엽니다. 지난 장에서 openssh-server를 설치하도록 체크를 해서 그부분을 제외하고 net-tools, vim을 설치합니다.   강의에서 address, netmask, gateway를 수정했기에 우리도 수정해 봅시다. /etc/netplan/00-installer-config.yaml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열어서 수정을 해야합니다.   열어보니 위에처럼 되어있네요. dhcp4: true의 의미는 자동 할당하겠다는 뜻입니다. 이부분을 원하는 설정으로

Read More

[Docker]UTM설치 및 Ubuntu 설치-2

UTM 설치하기 동일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 강의에서는 VirtualBox를 사용해서 그곳에 Ubuntu를 올려서 진행한다. 하지만 m1, m2와 같은 애플 실리콘이 지원이 안되고 있다. 이전 버전을 설치해서 진행해 보아도 정상 설치가 안되는게 검색해보니 지원을 안한다는 글이 많았다. 시작 부터 난관에 부딪혔다. ㅋㅋ vm툴 없이 진행할까도 고민했지만 그러면 나중에 문제가 생길수도 있고 vm툴을 사용하는 이유가 있을거 같아서. 애플

Read More

[Docker]컨테이너 가상화 이해-1

이번에 fastcampus에서 “초격차 패키지 : 한 번에 끝내는 CI/CD의 모든 것: Docker부터 GitOps까지”라는 강의를 사서 공부하면서 여기에 같이 실습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컨테이너 가상화 이해 컨테이너 기술은 무엇인가요? 애플리케이션을 언제등 실행가능하도록 하나의 런타임 환경으로 패키징한 논리적공간 경량의 격리된 프로세스 컨테이너 특징은? 경량 빠르게 실행(run), 여러 개의 컨테이너 동시에 실행(docker compose) 어떤 화경에서도 동작 가능한 이식성 비용절감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