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7. 원격저장소(git push)

여지껏 git commit으로 작업한 것은 작업폴더의 .git이라는 폴더에 저장되어있습니다. 이것을 로컬 저장소라고 합니다. 하지만 여러 사람들과 협업을 하기 위해서는 원격저장소에 해당 내용을 업로드해야 합니다. 그래야 다른 사람들도 그 변경 사항을 같이 공유하면서 작업을 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명령어가 git push명령어입니다.
원격 저장소로 가장 유명하고 널리 사용되는 곳이 https://github.com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깃허브에서 리파지토리를 만들고 어떻게 소스를 업로드 할 수 있는지 다루어 보겠습니다.

저장소 만들기


먼저 깃허브에 가입을 먼저 해주신 다음 new repository를 클릭해주세요.


위와 같이 repository-name을 입력해 주신 다음 create repository를 클릭해서 원격 저장소를 만들어 주세요.

…or create a new repository on the command line

echo "# git-commit" >> README.md
git init
git add README.md
git commit -m "first commit"
git branch -M main
git remote add origin git@github.com:junseongday/git-commit.git
git push -u origin main

새로운 저장소를 연결 할 때 위의 명령어로 하면 됩니다.

…or push an existing repository from the command line

git remote add origin git@github.com:junseongday/git-commit.git
git branch -M main
git push -u origin main

기존에 존재하는 저장소를 연결 할 때는 위와 같이 하시면 됩니다.

기존에 작업하던 폴더를 삭제 하신 후 다시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의 폴더와 연결 하실려면 위의 방법으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위의 방식 보단 깃허브의 리파지토리를 clone받아서 사용하는 경우가 더 일반적입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clone을 사용해서 원격 리파지토리와 연결해서 사용하는 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ssh 키를 등록하셨다면 SSH탭을 선택하신후에 빨간색 버튼을 눌러서 복사하시면 됩니다. 여기서는 HTTPS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git clone [복사한 주소]를 입력하면 현재 터미널에 위치한 곳에 저장소가 복사 됩니다.

 

git push

여기에 README.md 파일을 만들어서 PUSH해 보겠습니다.

위처럼 작업한 내용을 stagging에 올리고 commit, push하면 원격 저장소의 깃허브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협업에 필요한 명령어 및 유용한 명령어들을 모아서 정리하겠습니다.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