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이전 보전과 현제의 버전의 차이를 어떻게 비교할수 있는지 다루어 보겠습니다.
command
git diff commit-id1 [dommit-id2] git difftool commit-id1 [dommit-id2]
두 명령어의 차이는 diff, difftool로서 뒤에 tool더 붙는다는 것이다.
첫번째 diff 명령어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간단히 살펴 볼수는 있겠지만 이걸로 보기는 쉽지 않을거 같다. commit-id를 알아야 현제 버전과의 차이를 알수 있기에 지난 시간에 배운 git log –oneline –all –graph로 현제 상태와 비교하고자 하는 버전의 아이디를 선택해서 하면된다.
반면 difftool은 아래의 사진과 같이 vim(default)또는 vscode와 같은 에디터로 좀더 쉽게 비교할수 있다. vscode로 비교를 할려면 아래의 코드를 터미널에 입력하면 된다.
git config --global diff.tool vscode git config --global difftool.vscode.cmd 'code --wait --diff $LOCAL $REMOTE'
source control
비교하고자 하는 파일에서 Git:View File History선택한다.
차례대로 보면 View를 선택하면 선택한 히스토리의 버전에서의 파일 상태를 확인할수 있다. Workspace를 선택하면 현재 버전과 비교가 가능하다.
Previous는 git difftool commit-id1 [dommit-id2] 이명령어와 마찬가지로 현제 작업상태가 아닌 버전끼리 비교가 가능한 명령어이다.
오늘은 작업한 상태를 버전과 비교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