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1. 설치법

git은 파일을 버전관리 하는 툴로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이번 연제에서는 이 깃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명령어와 제가 주로 쓰는 툴인 소스트리를 사용해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최종적으로는 이 연제를 다 보시면 깃 사용해서 협업하는데 문제가 없도로 초심자 및 중급자의 가이드가 되도록 하고자 합니다.

제가 예전에 스터디했던 Learn Git Branshing. 에서 많이 배웠습니다. 지금도 유용하니 참고 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신명령어도(switch, restore) 나오고 git checkout의 파생 명령어의 쓰임이 많이 줄었는데 위의 사이트는 예전 문법을 가이드하고 있어서 이번 글에서 같이 정리하면서 나가겠습니다.

코드 에디터 및 Git 설치

https://code.visualstudio.com/#alt-downloads

앞으로 실습이나 설명은 VSCODE로 하겠습니다.  위의 링크에서 운영체제에 맞는 버전을 설치 하시면 됩니다.

https://git-scm.com/downloads

위의 주소는 깃 설치 링크입니다. 운영체제에 맞는 버전을 선택하여 설치 합시다.

GUI 툴은 실제로 일을 하다 보면 명령어보다 훨씬 더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여러 툴중에서 여기서는 소스트리의 내장툴인

Source Control을 사용하겠습니다.

 

깃을 다설치 하시면

 

 

 

git version 명령어로 깃이 설치 된것을 확인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git history라는 플러그인도 설치합시다.

오늘 GIT을 다루기 위해서 필요한 기본적인 프로그램들을 설치하였습니다.

다음 글에서 부터는 이러한 도구들을 사용해서 실습을 하면서 하나씩 어떻게 깃이라는 버전관리툴을 사용하는지 배워 봅시다.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