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putty, Moba, WinSCP를 설치하는 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네트워크 설정

터미널을 엽니다.
지난 장에서 openssh-server를 설치하도록 체크를 해서 그부분을 제외하고 net-tools, vim을 설치합니다.
강의에서 address, netmask, gateway를 수정했기에 우리도 수정해 봅시다. /etc/netplan/00-installer-config.yaml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열어서 수정을 해야합니다.
열어보니 위에처럼 되어있네요. dhcp4: true의 의미는 자동 할당하겠다는 뜻입니다. 이부분을 원하는 설정으로 변경하면 됩니다. ifconfig로 확인해보니 아이피가 192.168.68.67이 나왔습니다. 이건 환경마다 다를수 있습니다. 끝자리를 강의처럼 101 맞추었다.
routes: to~via는 게이트 웨이 설정인데 설정이 적용이 안되는거 같다. 하지만 테스트시 문제가 없어서 넘어갔다. ㅜㅜ
routes 부분에서 via 192.168.68.1부분은 강의에서는 2번으로 진행해서 처음에는 같이 맞춰서 했었는데 그렇게 하면 외부로 인터넷이 연결이 안됬다. 1번으로 수정을 해서 진행했다.
sudo netplan apply 변경내역을 적용한다.
변경 내역들이 잘 적용이 되었다. 192.168.68.101로 주소가 변경되었고 dns는 구글서버를 바로보고 있다.
putty Moba WinSCP 툴 설치
이 프로그램들은 윈도용이라서 맥에서 설치 하는 방법들을 공유 하겠다. 사실 다른 방법으로 진행 할수도 있겠으나 강의와 최대한 같은 화경에서 진행 하기 위에서 위의 프로그램들을 설치하고 지나 가겠다.
putty 설치
brew를 통해서 설치를 하겠습니다.
brew install putty
macport설치를 설치
https://www.macports.org/install.php
위의 링크에서 본인 버전에 맞는것을 다운받아 설치합시다.
sudo port -v selfupdate sudo port install putty
그런 다음 위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XQuartz를 설치 해야 putty를 실행할수 있습니다.
설치 하지 않을시 위와 같은 문구가 나오며 실행이 안되네요.
위의 링크에서 설치하면 됩니다.
이제 위에 처럼 putty라는 명령어를 치면 푸티가 실행됩니다.
cp /opt/local/bin/putty ~/Desktop/PuTTY
위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바탕화면에 푸티 실행 아이콘이 생깁니다.
Moba 설치
맥에서는 mabaxterm을 지원하지 않는다. 찾아보니 Remote Desktop Manager가 괜찮다고 해서 이걸로 대치하겠다. 이건 사실 위의 putty랑 겹쳐서 이것만 설치하면 putty는 설치 안해도 되는거 같다.
https://devolutions.net/remote-desktop-manager/home/downloadfree/
위에서 설치 하면된다.
new entry를 선택합니다.
ssh shell를 선택합니다.
위와 같이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create를 클릭합니다.
hostos1를 더블 클릭하면 위와 같이 연결 됩니다. 이게 푸티 보다 더 좋은거 같습니다. ㅎㅎ
hostos2는 os1을 복사해서 만들겠다.
host를 끝에만 102로 만들고 저장하자. 아직 호스트는 만들지 않았지만 후에 이걸로 사용할려고 미리 만들었다.
WinSCP 설치
이부분도 지원을 안하네요. ㅎㅎ
ftp로 파일 전송 할려고 하는거니 파일 질라로 대체하겠습니다.
https://filezilla-project.org/
위에서 다운받아서 설치 합니다.
sftp://192.168.68.101, kevin, pass123# 입력하고 빠른연결을 클릭하면 연결이 됩니다.
테스삼아 스크린샷 하나를 더블 클릭해서 전송해보았습니다.
ls를 입력해서 전송된것을 확인했습니다. 한글은 깨지는거 같습니다.
이번 장은 같단히 앞으로 공부할때 편리하게 하기 위한 네트워크 세팅을 했습니다. 그럼 다음 글에서 봐요.